fjrigjwwe9r3edt_lecture:conts 화장독이란 화장으로 생긴 여드름을 말하는데, 이는 짙은 화장이나 깨끗하게 클렌징이 되지 않아 모공에 화장품 찌꺼기가 남아 있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장품성 여드름은 근본적인 차이는 없으나 여드름을 짜내도 흰 비지 같은 면포가 나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여드름과는 원인이 다른 만큼 치료 방법도 달라집니다.
화장독= 자극성접촉피부염 or 알레르기성피부염
화장독은 자극성 접촉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 구분 가능. 다음 테스트를 통해 두가지를 간단히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자극성 접촉 피부염이란 화장품 내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농도가 높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반응으로 화장품을 바른 즉시 그 부위가 화끈거리면서 따가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란 같은 화장품을 사용해도 다른 사람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반응이 특정 사람에게만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경우로 화장품을 바른 즉시 발생하지 않고 며칠이 지난 후나 심지어 2주 이후에 반응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test1, test2, 각각 해당사항이 3개 이상시 되면 그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test1 | 자극성 접촉 피부염 | 체크 | 1. | 화장품을 사용한 즉시 짧은 시간 내에 따갑고 가려운 느낌이 든다. | | 2. | 화장품을 바른 부위에만 증상이 나타난다. | | 3. | 부풀어 오르지는 않지만 붉은 증상이 생긴다. | | 4. | 평소에 비해 유난히 각질이 많이 생긴다. | | 5. | 화장품 사용을 중단했더니 점차 따가운 증상이 줄어들었다. | | test2 |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 체크 | 1. | 화장품을 사용한 지 2주 정도 지나 가려운 증상이 시작된다. | | 2. | 좁쌀 같은 작은 물집이 생긴다. | | 3. | 화장품을 바른 부위뿐 아니라 그 주변에도 증상이 번진다. | | 4. | 그 화장품을 바르지 않아도 증상이 오래도록 지속된다. | |
화장독 예방은 깐깐한 주의와 미리 써보기가 중요
- 화장품 성분표시를 조근조근 따져보자. 제조년월일, 유통기한. 구성성분을 반드시 확인해서 자신에게 맞는 안전한 화장품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 피부를 민감하게 만들지 말자. 사우나, 목욕시 때를 밀거나, 세수할 때마다 얼굴의 각질을 제거한다든지, 일주일에 몇 번씩 딥 클렌징 팩을 한다든지 하는 습관은 금물. 민감한 피부는 이런 자극을 받으면 바로 피부염으로 발전합니다.
- 새 화장품으로 바꿀 때는 사전 테스트가 필수!! 얼굴에 바로 바르기 전에 팔 안쪽에 하루 2번씩 소량을 바른다. 일주일 정도 바르고도 붉어지거나 가려움증이 없을 때 얼굴에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